VIP동물의료센터는
심도 있는 치료까지 책임집니다.

선천적으로 항문이 없는 고양이 항문성형술 치료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5-03-10
- 조회수
- 118
선천적으로 항문이 없는 고양이 항문성형술 치료
동물 이름 : 나리(가명)
나이 : 1개월
성별 : 암컷
품종 : 브리티쉬 숏헤어
주요 증상 : 배변없음. 일부 배변이 설사처럼 생식기에서 나오는 모습 보여서 항문 무형성증 의심
■ 내원 당시의 상태
나리(가명)는 태어난지 한달 조금 지나 이유 중인 시기였고, 이전에는 보호자분이 특별한 이상을 느끼지 못하셨습니다.
이유 후 식이를 시작하면서 다른 친구들과 달리 제대로 변을 보지 못하고 변이 항문 근처에 묻어 있으나 항문을 보면 항문은 깨끗하고 생식기 근처에 변이 보여서 항문 무형성증을 의심하시고 내원하셨습니다.▼
■ 검사 방법, 검사 결과
기본적인 신체컨디션의 큰 저하는 보이지 않음.
시진 및 촉진 (rectal palpation) 상 상부 anal sphincter(항문조임근)의 흔적 및 anal sac opening(항문낭개구부)는 관찰되었으나 내부가 폐쇄되어 있었음.
생식기를 통해 연변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항문무형성증 (atresia ani)로 진단할 수 있었습니다.
신체검사를 통해 정확한 type까지 알수는 없었으나, type II, 혹은 type III에 직장(rectum)과 질(vagina) 사이 비정상적인 개구부(fistula)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습니다.▼
정확한 구조 파악을 위해 CT 촬영까지 진행하였습니다.
항문개구부 근처까지 직장이 형성되었으나 개구부 및 항문조임근이 형성되지 않은 type II 로 판정되었으며, 항문낭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 되었습니다.▼
항문 무형성증 (atresia ani)이란?
- 발생 과정에서 선천적 기형으로 항문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Type I: 선천적 항문 협착
Type II: 직장이 낭성구조물 형태로 단절되어 외부로 연결되지 않음
Type III: 항문 점막은 있으나 직장이 낭성구조물로 단절되어 있음
Type IV: 항문과 주변 조직은 정상이나 직장이 골반강 앞에서 단절
- 다음과 같이 4가지 형태로 구분되어지며 경우에 따라 본 케이스와 같은 직장과 질 사이에 개구부 (fistula)가 있는 형태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항문 무형성증 임상 증상
* 정상적인 항문 개구부 결여 또는 완전 폐쇄
* 동복자에 비해 성장 지연
* 식욕 부진이나 무기력증
* 변비로 인한 복부 팽만
* 직장과 질 사이 개구부(fistula) 가 있는 경우
:외음부를 통한 분변 배출, 요로감염 발생
* 배변을 할 수 없어 거대결장 발생 및 대장기능 소실 등의 임상증상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치료방법
- 어린연령 고양이는 호흡마취 유지를 위한 v-gel® Advanced 제품을 통해 호흡마취를 유지하였습니다.
1) 항문낭 제거술
- 정상적으로 항문낭까지 구조를 가져갈 수 없어서 양쪽 항문낭 제거술을 먼저 진행하였습니다.▼
2) 항문성형술
- 외부로 직장의 낭을 꺼내기 위해 피부절개 후 낭성구조물 및 질과의 연결부를 탐색했습니다.
질과의 연결성을 끊어주기 위해 봉합사를 이용해 결찰(ligation)을 진행하고 절제하였습니다. ▼
2) 항문성형술
- 절제한 부분을 통해 대변이 확인되어 최대한 멸균적으로 제거하였습니다.
- 절제되어 열린 부분을 활용하여 개구부를 넓힌 후에 절개한 피부와 봉합하여 새롭게 항문을 형성하였습니다. ▼
수술 후 소독을 유지하면서 변연화제 투약을 통해 원활하게 배변하도록 유도했으며,
수술 후 10일차 까지 미약한 배변실금 증상을 보였으나 정상적으로 건강하게 생활했습니다.
30일 경과 이후 일부 직장의 돌출 (prolapse) 소견이 보이긴 했으나 주변부가 잘 정리되 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정상변 배변시 대부분 원활하게 배출되며 건강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
고양이 항문무형성증은 발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 질환으로 생명유지에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배변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어 환자의 삶의 질이 극단적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아주 어린 연령에서 사망에 이를 수 밖에 없어 수술적 교정이 필수적 입니다.
어린 고양이에서 해당 증상이 의심된다면 지체 없이 내원하셔서 진단 받아보시고 수술적 교정까지 빠른 처치를 받으셔야 합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노원점 김남희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