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동물의료센터는
심도 있는 치료까지 책임집니다.

강아지 낙상으로 인한 상완골 관절구 골절, 수술적 치료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5-03-27
- 조회수
- 38
강아지 낙상으로 인한 상완골 관절구 골절, 수술적 치료
동물 이름 : 몽이(가명)
나이 : 13살
성별 : 중성화 암컷
품종 : 시추
주요 증상 : 낙상 후 좌측 전지 딛지 못 하는 수준의 파행, 신경계 검사 상 양호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검사 방법 및 진단
방사선 촬영 : 양측 전지 방사선 상 좌측 팔꿈치를 구성하는 상완골의 내측 관절구 골절이 확인되었습니다. ▼
정밀한 검사 결과 몽이(가명)는 좌측 상완골 관절구 골절로 진단되었으며, 그 외 낙상으로 인한 신경 증상이나 폐출혈 등의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상완골 관절구 골절은 요골 머리의 위치 및 뼈 굵기의 차이로 내측 보다 외측 관절구 골절이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그러나 골절을 유발하는 힘의 방향에 따라 본 환자처럼 시추 등의 연골이형성 품종에서는 뼈 모양에 따라 내측 관절구 골절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골절과 달리 관절을 포함하는 골절은 완전한 해부학적 재건을 기반한 골유합으로 향후 관절 가동 시에 불편함이 없어야 합니다. 따라서 상완골 관절구 골절에서는 연골이 포함된 부위는 래그 스크류(lag screw)를 통해 골편을 압박시키고, 관절 위 골절은 골절 모양이나 환자의 특성/병력에 따라 추가 이식물을 결정하여 고정해야 합니다.
■ 치료방법
수술 플래닝 프로그램(vPOP pro)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맞는 이식물을 결정하고 수술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본 환자는 13살의 다소 고령의 나이와 양측 부신 비대 및 ALP 상승 등의 쿠싱 증후군 의심 정황이 있어 골유합이 더딜 것으로 고려되어 Lag screw뿐만 아니라 cross-pin과 plate 고정을 계획하였습니다. (쿠싱 증후군은 골절 안정화 이후 검사 및 치료 방향 수립 예정) ▼
골절 환납 후 임시 고정 핀 삽입 및 cross-pinning으로 환납을 유지하였으며, C-arm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이식물의 위치와 길이를 평가했습니다. 관절 부위 Lag screw 삽입을 위한 pre-drilling 시에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aiming-guide를 사용하였고, Lag screw 삽입 후 근위부 골절 고정을 위한 plate 추가하여 골절 환납 후 팔꿈치 가동 시 부드럽게 관절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
술후 방사선 촬영 시. 술전 플랜대로 이식물이 장착된 것을 확인했으며, 관절면은 해부학적으로 온전하게 환납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
수술 후 2주차 빠르게 회복한 몽이(가명)의 보행 영상 ▼
마찰음 없이 부드럽게 가동 되는 모습.
몽이(가명)는 수술 이후 현재까지
빠른 회복이 이어져 건강하게 보행하며
잘 지내고 있습니다.
관절을 포함한 골절은 골절 수술 중에도 난도가 높은 수술에 속하며, 완전한 해부학적 재건을 통해 보행 시 불편감이 없어야 합니다. 수술 전에 세운 면밀한 계획을 바탕으로 수술을 진행하였고 수술 중, 후 관절 평가 시 염발음 없이 부드럽게 가동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환자는 빠른 보행 회복이 가능했던 사례입니다. 만일, 반려견에게 낙상 이벤트가 발생하여 발을 제대로 딛지 못하고 통증을 호소한다면 몽이의 치료 케이스를 참고하시어 빠른 시일 내에 적합한 검사와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전지원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