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동물의료센터는
심도 있는 치료까지 책임집니다.

-
외과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 (적출술)
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동물 이름 : 미남이(가명)나이 : 10살 성별 : 중성화 남품종 : 믹스주요 증상 : 비장에 보였던 결절이 1년 사이에 크기가 커지고 양상이 변화함■ 내원 당시의 상태미남이는 본원에서 매년 건강검진을 하면서 비장 내 결절의 크기를 모니터링하고 있었습니다. ■ 검사 방법, 결과[비장 초음파] ▼최근 비장 초음파 검사 상 작년에 비해 비장 결절의 사이즈가 커진 것이 확인됐습니다. 종양이 의심됐고 조직 검사를 위해 복강경으로 비장을 제거하기로 했습니다. [전이 평가를 위한 CT 검사]CT 촬영하여 전이 평가를 진행했고 폐야, 간, 림프절 등의 다른 기관에서의 전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습니다.[복강경 비장 적출술] 진행을 결정했습니다.강아지에게 비장 결절이 발견되었을 시 상태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이 고려됩니다. 비장의 결절 또는 종양이 6cm 미만인 경우 복강경으로 제거가 가능합니다.■ 수술 방법 및 과정비장은 부분적으로 절제할 경우 출혈로 인한 빈혈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전체 적출을 해야 합니다.미남이에게 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을 통한 적출을 진행했습니다. [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복강경 기구 장착 ▼강아지 비장 제거(적출)를 위해 복강경 기구를 장착하고 비장을 적출했습니다. ▼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 과정[동영상 보러 가기]적출한 비장 ▼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은 잘 끝났고미남이도 마취에서 안전하게 깨어났습니다. 다른 환자의 [일반 개복 비장 적출 직후 모습]과미남이의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 직후 모습]비교 사진입니다. ▼▼▼▼▼▼▼위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반 개복 비장 적출 수술에 비해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 후 모습은 절개 부위가 축소됩니다. 이는 회복과 통증이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미남이는 수술 당일 저녁부터 식욕을 회복했고, 바이탈도 안정적이었습니다.복강경 포트 장착을 위한 작은 수술 절개창만 있었기 때문에 통증이 적었고 수술 이후 염증 수치도 크게 증가하지 않아 수술 다음날 퇴원했습니다.■ 수술 경과, 결과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 후7일차 모습입니다. ▼*비장 적출술을 복강경으로 할 때는 개복으로 할 때보다 피부 절개 정도가 적어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수술 1-2일 후에 퇴원이 가능합니다. ■ 조직 검사* 적출된 비장에 대한 조직 검사를 진행했습니다.CT 검사와 세침 검사를 통해 비장에서 보이는 병변이 양성인지 악성인지 추정될 수 있으나, 정확한 진단은 조직 검사로 만 가능합니다. 조직 검사 결과 종양이 아닌 것으로 나왔습니다.보호자님께서는 크게 기뻐하셨습니다. 미남이는 퇴원 이후에 빈혈도 없고염증 수치도 정상화되어 치료를 종료했습니다. 비장은 혈액 내 적혈구와 림프구를 저장, 생성하고 면역에도 깊게 관여하여 혈액을 많이 가지고 있는 기관으로 노령성 결절, 양성 종양, 악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보통 복부 초음파에서 우연히 발견됩니다.비장 종괴는 증상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초음파를 통해서만 발견될 수 있고 처음 발견했을 때는 크기가 매우 작아도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크기가 커지지 않았는지, 성상이 변화하지 않았는지 꾸준히 모니터링하셔야 합니다. 비장은 악성, 양성 관련 없이 크기가 커지면 파열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아이의 비장 내 종괴가 커져서 더 자세한 검사가 필요한데, 개복술로 적출할 때 회복하는데 어려울까 봐 걱정이 될 경우, 강아지 복강경 비장 절제 수술(적출술)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외과 팀장 정지은
24.08.19 -
외과정량광형광기법을 활용한 치과 검사 및 강아지 스케일링 전후 비교
정량광형광기법을 활용한 치과 검사 및 강아지 스케일링 전후 비교동물 이름 : 동원이(가명)나이 : 6살성별 : 중성화 남품종 : 비숑 프리제주요 증상 : 치아 파절■ 내원 당시의 상태6살 비숑 프리제 동원(가명)이의 보호자님께서는 바닥에 이빨 조각이 떨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동물병원에 내원하셨습니다. 평소 양치질을 잘 하는데 이빨 조각이 발견된 이후 양치질을 피하려고 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동원이는 이빨 조각이 발견되기 이전에 딱딱하게 말린 고구마를 섭취한 이력이 있습니다. ■ 검사 및 결과동원이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기본적인 구강검진을 진행했습니다.좌측 상악 큰 어금니의 치아 파절이 확인됐고 치수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였습니다.해당 부위를 촉진했을 때 뚜렷한 통증 반응과 출혈이 확인됐습니다.전반적인 치아에 걸쳐 치석과 치태가 관찰되었고, 치석이 맞닿아 있는 잇몸 부위에 발적이 확인되어 치은염이 진단됐습니다.하악 앞니 중 1개는 부정교합이 있었고, 만져보았을 때 '흔들림' 이 있었기 때문에 치주염이 의심됐습니다. 동원이의 상태를 더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정량광형광기법]으로 검사를 진행했습니다.정량광형광기법 : 푸른 가시광선(405nm)과 특수필터를 이용하여 치아 표면의 바이오필름(세균 막)을 탐지할 수 있는 형광 검사입니다.구강 내 바이오필름이 만들어내는 포피린(porphyrin)성분이 붉은색 형광으로 도드라져 나타납니다.동원이의 정량광형광기법 검사 모습입니다. 세균 활성이 높은 부위가 빨간색으로 나타납니다.정량광형광기법으로 검사한 결과, 동원이는 송곳니와 큰 어금니 위주로 세균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강아지 정량광형광기법 검사 결과 및다른 검사 결과를 종합했을 때치료가 요망되어 보호자님과 상의 후강아지 스케일링 및 파절 치아 발치 등의치료를 진행키로 했습니다. ■ 치료마취 상태에서 이루어진 치과 정밀 검사 결과 동원이는 하악 앞니 6개 중 가운데 4개의 흔들림이 관찰되었고 방사선에서 치조골 소실이 확인되어 치주염이 추가 진단됐습니다. 해당 증상들에 관한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1. 스케일링을 통해 치태와 치석을 모두 깨끗이 제거했고, 이후에 이빨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는 연마 작업까지 진행했습니다. 2. 앞서 치주염이 확인된 하악 앞니 4개 중 치주염이 가장 심하고 흔들림도 심한 치아 1개에 대해 발치를 진행했습니다.3. 치아 파절 및 치수 노출 상태인 좌측 상악 큰 어금니에 대해서도 발치를 진행하고 치과 치료를 마무리했습니다.치료 후 동원이는 마취에서 잘 깨어났고보호자님과 함께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 치료 경과, 결과[강아지 스케일링 및 치아 파절 치료(발치) 1주 후]▲ 1주 후 재진 시, 발치 부위가깨끗이 아문 것을 확인했습니다. 봉합사가 남아있긴 하지만, 약 한 달 정도 지나면 없어지는 '녹는 실'을 사용했기 때문에 봉합사 제거 과정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스케일링을 통해 치석과 치태를 깨끗이 제거해 주었기 때문에 잇몸의 발적도 모두 가라앉은 상태입니다. [치료 1주 후 정량광형광기법 검사]▲ 정량광형광기법 검사를 통해 세균 활성을체크해 보았을 때 치료 전과는 달리세균 활성이 확인되지 않습니다.파절이 발생한 좌측 큰 어금니 1개를 발치했기 때문에 좌측으로 음식을 씹는 것을 조금 불편해할 수는 있으나, 정상인 우측으로 충분히 저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활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입니다. 향후 집에서의 꾸준한 양치질을 통해 치태와 치석이 과다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를 당부드렸습니다.▼[정량광형광기법 검사] 치료 전후 비교▼(왼쪽부터) 전, 후▼[강아지 스케일링 및 발치 치료 전후 비교]▼(왼쪽부터) 전, 후동원이는 현재 저작 활동에아무런 문제 없이맛있는 음식을 먹으며보호자님과 잘 지내고 있습니다. 정량광형광기법은 강아지 치아 표면 세균 막 탐지를 위해 꼭 필요한 검사로 환자에게 통증이나 불편감을 유발하지 않아 간편하며, 일반적인 육안 검사에 더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에서는 정량광형광기법 검사를 통해 구강 내 세균 활성도를 시각화하여 치태와 치석의 심각도를 정량화하고, 보호자님께서 환자의 구강 상태를 더 잘 이해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 시 정량광형광기법 검사를 활용한다면 양치질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느 부위를 더 신경 써서 양치질해줘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꾸준히 양치질을 해주고 규칙적인 치과검진을 받고 있다 하더라도 더 건강하게 치아 건강을 관리해 주고 싶으시다면 정량광형광기법 검사를 통해 치아 표면 세균 활성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박은진 과장
24.08.09 -
외과복강경을 활용한 고양이 소장 이물 제거, 최소침습수술 사례
복강경을 활용한 고양이 소장 이물 제거, 최소침습수술 사례동물 이름 : 베이 (가명)나이 : 11개월령성별 : 중성화 여아품종 : 렉돌주요 증상 : 구토, 기력 저하■ 내원 당시의 상태 11개월령 렉돌, 중성화 여아 베이(가명)는 내원 이틀 전부터 평소와 다르게 식욕이 줄고, 기력도 조금 없어 보이는 증상을 보였습니다. 최근 들어 구토하거나 화장실 매트를 자주 뜯는 모습도 보여 건강 상태와 연관성이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 보호자님께서 아이와 함께 내원하셨습니다. ■ 검사 방법 / 검사 결과베이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염증 수치라고 불리는 fSAA 수치가 상승되어 있었습니다.▲ 초음파 검사 상에서 소장 내 이물 음영이 확인됐습니다. (약 19mm 크기의 소장 내 이물이 초음파에서 확인됐습니다.) 주변 장과 복막의 염증 상태도 확인됐습니다.검사 결과 베이의 소장에서 확인된 이물이 잘 내려가지 못하고 걸려있는 상태로 확인됐습니다. 이물 주변으로 염증을 확장시키고 있기 때문에 수술적 제거가 꼭 필요한 상태였습니다. ■ 수술 / 치료방법베이의 치료를 위해 장 절개술을 통한 복강경 이물 제거 수술이 결정됐습니다. 일반적인 개복 장 절개술이 아닌 '복강경을 활용'한 최소 절개, 최소침습수술을 계획했습니다. [고양이 소장 이물 제거](복강경, 최소절개, 최소침습수술)복강경을 활용한 최소침습수술로 이물 제거를 진행하면 1) 복강 내 장기의 불필요한 노출 및 조작이 최소화 됨에 따라 수술 후 복부 불편감이 줄고, 염증, 유착 발생의 위험 또한 줄일 수 있습니다. 2) 최소의 절개로 통증을 줄이고, 빠른 회복 및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도울 수 있습니다.*위와 같은 사항을 보호자님께 충분히 설명드린 뒤 소장 이물 제거를 위한 복강경 최소침습수술을 진행했습니다.-1-① 수술을 위해 수술포를 덮고 준비된 모습② 2개 포트를 설치하여 카메라와 기구를 삽입한 후 이물이 있는 소장의 위치를 확인한 뒤, 해당 부위 소장을 기구로 잡아 끄집어 올리는 모습-2-① 복강 밖으로 끄집어 낸 소장에 봉합사를 걸어 위치를 잡아 둔 후② 두 개의 포트 구멍을 이어주는 절개를 추가하여 ③ 이물이 있는 부분만 복강 밖으로 노출시켜 절개술을 시작-3-① 장 절개 후 확인되는 이물② 완전히 제거한 이물의 모습③ 장 절개 부위를 봉합한 후 다시 복강 내로 환납하기 전 모습-4-(왼쪽)일반 절개방식으로 수술한 다른 환자 모습(오른쪽)복강경 최소침습수술 한 베이의 피부봉합 모습■ 수술 치료 경과, 결과복강경을 활용하여 최소침습수술로 진행된 고양이 베이의 소장 이물 제거 수술은 잘 끝났습니다. 마취에서 잘 회복한 베이는 이틀간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에 입원하여 관리받은 후 보호자님과 함께 씩씩한 모습으로 퇴원했습니다.이후 베이는 특별한 이벤트 없이 완전히 정상 컨디션으로 회복했고, 실밥 제거 날 확인한 모습으로는 최소침습수술 부위도 깨끗하게 잘 아물었습니다.현재 베이는 매우 건강한 상태로,쌩쌩한 기력을 뽐내며행복하게 잘 지내고 있습니다.복강경 수술은 사람 병원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있지만, 동물병원에서는 최근 들어 그 이용 추세가 늘고 있습니다.동물의 수술 후 회복이 인체의 회복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수술받는 동물 환자의 빠른 회복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수의사와 보호자 모두가 추구하는 바이기 때문에 흉강경, 복강경 같은 최소침습수술의 활용은 앞으로 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베이의 경우처럼 복강경을 활용한 소장 이물 제거 / 최소침습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시라면 오늘 사례를 참고하시어 올바른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 안승엽 원장
24.08.01 -
외과강아지 흉선종 수술적 제거
강아지 흉선종 수술적 제거동물 이름 : 메리(가명)나이 : 13세성별 : 중성화(여)품종 : 말티즈주요 증상 : 정기 심장 검진을 위해 내원■ 내원 당시의 상태 메리는 이전에 초기 심장병 (ACVIM B1 단계) 진단되었던 환자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위해 내원했습니다.약간의 기침 증가 외에 큰 특이사항 없이 지내는 상태였습니다. ■ 검사 방법, 결과흉부 방사선 검사 : 심장 크기 측정 및 폐 상태 확인을 위한 흉부방사선 촬영을 진행했으며, 이전 검사 시 확인되지 않았던 종격동 부위의 이상 음영이 확인됐습니다. ▼(좌): 3개월 전 검진 시 사진, (우): 이번 검진 시 사진, 종격동의 mass effect (화살표)흉부 초음파 검사 : 흉부 초음파 검사상 종격동 부위의 mass 음영이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해 폐가 허탈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세침흡인검사 : 해당 종괴에 대해 초음파 guide 후에 FNA (세침흡인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세포 충실도는 높았으며, 소형 크기의 림프구들이 주로 흩어져 있었습니다.이와 함께 군집을 이루거나 맨핵 상태로 흩어져 있는 상피 유래로 판단되는 세포들이 다수 혼재되어 있었으며, 중형 크기 이상의 림프구와 비만세포가 소수 관찰됐습니다. CT 검사 : 심장 전방 좌측에서 불균질한 조영 증강을 보이는 mass가 확인됐습니다. 종격동 유래로 추정되며, mass 주변으로 허탈된 폐 좌측엽과의 유착 및 침습도 고려됐습니다.Mass 후방은 심장과 인접하였으며 심막과 유착 및 침습까지 고려됐습니다. 본원 검사 결과 및세침흡인검사 결과,흉선종의 가능성이높게 고려됐습니다.흉선은 종격동에 존재하는 작은 장기로 어릴 때 면역기능을 담당하다가 나이가 들며 점차 퇴화하는 기관입니다.흉선종의 경우, 종격동 위치의 흉선에서 발생하는 상피세포 유래의 종양입니다.흉선종은 거대 식도증 및 흡인성 폐렴이 동반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고칼슘 혈증,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근염, 혹은 면역매개성 피부 질환 등의 부종양 증후군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은 보통, 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무증상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치료 방법강아지 흉선종은 종괴의 크기가 작은 경우 흉강경을 통한 접근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미 종격동에 큰 크기의 종괴가 확인되어 개흉 및 수술적 제거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좌: median stermotnomy우: intercostal thoracostomy사진 출처: Orton, E. Christopher, and Eric Monnet. Small animal thoracic surgery. John Wiley & Sons, 2017.종격동 종양의 경우 개흉술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며, 정중으로 접근하여 갈비뼈를 절개하여 접근하는 흉골 절개 (sternotomy) 혹은 갈비뼈 사이를 절개하는 늑간 절개 (intercostal thoracotomy) 가 있습니다.환자의 종괴 크기 및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intercostal thoracotomy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보호자님께도 이 같은 수술 방법,과정에 관해 충분히 안내드린 후수술을 진행했습니다. ■ 수술, 치료(1) 개흉 후 확인된 종격동 종괴 및 폐 종양 조직(노란색 화살표)과 유착된 폐(주황색)가 확인됩니다. (2) 손상을 최소화하여 폐조직과 종괴를 분리해 줍니다. (3) 분리한 종양 조직 확인 및 제거 (4) 제거한 강아지 메리의 흉선종(1) 제거 후 사진(2) 종괴 제거 후 bubble test를 통해 폐의 손상 여부를 확인 :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폐 손상은 없는 것으로 확인(3) 흉강 내 공기 및 삼출물 제거를 위한 흉관 장착(빨간색 화살표) 및 폐흉* 이번 강아지 흉선종 수술에서는 근육을 절제하지 않고 보존하는 muscle sparing 수술법을 사용했습니다.좌: 전통적인 개흉술 (Fossum, Theresa Welch, et al. Small animal surgery) 우: muscle-sparing technique (Yoon, H. Y. et al., Intercostal thoracotomy in 20 dogs: muscle-sparing versus traditional techniques)전통적인 방법과 다르게 넓은 등근(latissimus dorsi m.)을 절개하지 않고 보존하여 등 쪽으로 젖혀서 접근을 하는 방법으로, 술 후 통증이 적어 회복이 빠른 이점이 있습니다. 메리도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수술치료 경과수술 전 (종괴-주황색 원) / 술 후 4일차 / 술 후 18일차종괴로 인해 눌려있던 폐가 원래 위치로 펴지면서 하얗게 보이던 부분이 공기가 들어간 폐로 채워져 심장 음영이 더 선명하게 확인됩니다.* 제거한 종괴는 흉선종으로 확인됐습니다. 주변 혈관의 침습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유사 분열수(mototic count)는 2로 낮게 확인됐습니다.메리는 수술 이후 간헐적으로보이던 기침 증상도 개선되었으며,수술 이후 큰 합병증 없이회복하여 실밥 제거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강아지 흉선종의 재발 여부 모니터링 및 기존에 있던 심장 질환에 대해 지속적인 관리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만약 아이가 호흡이 불편해 보이는 모습을 보이거나 방사선 상의 이상 음영이 발견될 경우, 치료가 필요한 상황일 가능성이 높으니 지체 없이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보시기를 바랍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문제성 과장
24.07.26 -
외과강아지 전립선 종양(TCC/이행상피세포암종)수술 및 항암치료
강아지 전립선 종양(이행상피세포암종/TCC)수술 및 항암치료동물 이름 : 모찌나이 : 9살 령성별 : 수컷품종 : 스피츠주요 증상 : 요로결석 잔뇨감 혈뇨를 주증으로 내원■ 내원 당시의 상태9살 령 수컷 스피츠, 모찌는 쾌활한 웃음과 미소 때문에 어딜 가든 사랑받는 아이입니다. 보호자님과 평범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으나 요로결석 잔뇨감 혈뇨 증상이 발생해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에 내원하게 됐습니다.■ 검사 방법, 검사 결과모찌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방사선 검사복부 방사선 검사상 결석 음영의 물질이 방광 내에서 관찰됐습니다. 초음파 검사초음파 검사 상 모찌의 방광 내에서 5.5mm 크기의 결석 음영이 관찰됐습니다.전립선은 비대된 상태에서 울퉁불퉁하며 낭성 구조 및 석회화된 병변이 확인됐습니다.강아지 전립선 종양이 의심되어CT 촬영 및 방광경 조직 검사를 진행했습니다.CT 촬영▲ CT 촬영 상 전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방광경 조직 검사* 비수술적 방법으로 병변부 조직 샘플 채취요도를 통하여 세계적 첨단 내시경사인 Karl Storz의 초소형 연성 방광경을 진입시키고 조직 검사 포셉을 내부에 진입시켜 병변부에서 조직샘플을 채취 했습니다. (왼쪽부터) 1. 초소형 연성 방광경으로 요도를 통한 병변부 조직 샘플을 채취하는 모습 2. Karl Storz의 초소형 연성 방광경[동영상 보러 가기]검사 시모찌의 방광 결석도함께 제거 진행했습니다.▼모찌를 괴롭히던 결석의 주성분은'칼슘 옥살레이트'로 확인됐습니다.▼■ 검사 결과* BRAF 양성* 조직 검사상 이행상피세포암종 Transitional cell carcinoma (TCC)로 진단됐습니다. (강아지 전립선 종양) ■ 수술 치료 및 방법모찌에게 전립선 전적출, 방광 요도 문합술 진행됐습니다.*수술 김지현 원장* 떼어낸 종양 전체를 조직 검사했습니다.▼떼어낸 종양 전체 조직 검사 결과, "림프관 침윤을 동반한 전이성 이행상피세포암종"으로 판명되어 항암치료를 진행키로 했습니다. *항암치료 고한아 원장。。。。■ 경과수술 후 1주 차, 누출 및 협착 없이 수술 부위가 양호했습니다. ▼퇴원 전 배뇨 산책 모습▼자발 배뇨 모습▼[동영상 보러가기]수술 후 2주 차, 모찌의 수술 부위는 양호했습니다.▼[항암치료]모찌는 면역 염색 결과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pe2)에 양성 확인되어, 표적항암치료 및 세포독성 항암치료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모찌는 현재 보호자님의따뜻한 보살핌 속에 씩씩하게항암치료를 받으며잘 지내고 있습니다.강아지에게 혈뇨 증상이 있을 때에는 되도록 빨리 검사하여 조기 치료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모찌의 경우처럼 검사 후 강아지 전립선 종양(Transitional cell carcinoma/TCC)/이행상피세포암종)으로 밝혀지는 케이스도 있기 때문입니다.관련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본 치료 케이스를 참고 하시어 빠른 시일 내에 동물 병원에서 검사와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김지현 원장(수술)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고한아 원장(항암치료)
24.07.24 -
외과강아지 상완골 관절 융기(팔꿈치) 골절 재건 수술 치료케이스
강아지 상완골 관절 융기(팔꿈치) 골절 재건술동물 이름 : 철이(가명)나이 : 1년 10개월성별 : 중성화 남품종 : 말티푸주요 증상 : 낙상 후 오른쪽 다리를 못 딛고 아파함■ 내원 당시의 상태1년 10개월의 중성화 남아 철이는 침대에서 떨어진 이후로 오른쪽 앞다리를 딛지 못하고 통증이 발생한 상태로 내원했습니다.이번 낙상 이전에는 다리를 절뚝이거나 불편해했던 병력은 없었습니다. ■ 검사 방법, 결과*보행 평가 : 보행 평가 시 오른쪽 앞다리를 딛지 못하고 세 다리로 걸어 다니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방사선 검사 : 방사선 검사 상 오른쪽 팔꿈치의 골절과 탈구가 확인됐습니다. *상완골 융기의 골절의 위치와 범위에 따라아래 사진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철이의 경우외측 상완골 융기의 골절로확인됐습니다.■ 수술, 치료 방법팔꿈치 골절의 경우, 골절편을 정상 해부학적 구조로 맞춘 후에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고정을 할 수 있습니다.나사를 사용하거나 핀을 사용할 수 있는데 환자 뼈의 크기 및 상태, 주변 근육이나 연부 조직의 상태, 환자의 개인적인 성향, 기저질환 및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알맞은 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이식물을 삽입하는 데 있어 고정이 잘되어 안착되어야 하고, 주변 조직에 자극이 되지 않아야 하므로 알맞은 수술적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합니다.▲▲▲▲▲철이는 위 모식도와 같이수술을 계획했습니다.강아지 상완골 관절 융기(팔꿈치) 골절 재건 수술 과정◎ 수술 준비◎ 팔꿈치 관절로 접근◎ 조직을 분리하여 screw와 k-wire를 적용◎ 피부 봉합 후 마무리환자는 주변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키고 뼈를 원위치에 맞춰 수제로 고정한 후에 스크류와 핀을 삽입하는 작업을 거쳤습니다. 이후에 골절로 인해 생겼을 수 있는 염증을 케어해주기 위해 멸균생리식염수로 수술 부위를 충분히 세척했습니다.철이의 경우 골절 이후 시간이 경과된 시기에수술이 진행되어 주변 조직이 구축되어 있었습니다.골절부의 환납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였지만주변조직을 최대한 보존하며성공적으로 수술을 마쳤습니다.■ 수술 치료 경과* 수술 후 엑스레이술 후 방사선 검사상 변위,골절된 뼈가 잘 교정되었고,이식물도 목표 한대로잘 장착된 걸 확인했습니다.강아지 상완골 관절 융기(팔꿈치) 골절재건수술 후 1일차 ▼강아지 상완골 관절 융기(팔꿈치) 골절재건수술 후 3일차 ▼강아지 상완골 관절 융기(팔꿈치) 골절재건수술 후 7일차 ▼수술 후 붕대를 통해다리가 부중할 수 있도록 도와줬으며점차 가볍게 드레싱을 줄이면서스스로 보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술 후 관리(재활 및 치료) ▼짐볼을 활용하여 앞다리를 대칭적으로 부중할 수 있게 재활치료를 했고 수술 부위 회복을 돕고자 매일 냉각 치료와 레이저 치료를 진행했습니다.[재활치료 모습]상완골 관절 융기(팔꿈치) 골절 재건 수술 후7일차(위), 10일차(아래) 보행 모습(7,10일차 보행 모습 동영상 보러 가기)다리 절뚝거림은 초반에 남아있어 머리가 위아래로 흔들리는 보행이 유지됐으나 수술 후 2주 차부터는 정상 보행도 가능케 되었습니다. 철이는 현재 보호자님과건강함이 주는 행복을 즐기며잘 지내고 있습니다.상완골이 골절되어 원위치에서부터 변위가 되면 주변 근육이나 연부 조직이 이에 맞게 수축하거나 이완이 되므로, 원위치로 돌려놓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아지 상완골 골절이 발생했을 때는 신속히 수술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것이 예후에 좋습니다. 골절로 인해 치료가 필요하시다면 참고하시어 빠른 시일 내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김종인 원장
24.07.17 -
외과강아지 외상성 고관절 탈구 인대재건, 토글핀 Toggle Pin 수술 치료
강아지 고관절 탈구(외상성) 인대 재건토글핀 Toggle Pin 수술 치료동물 이름 : 복이(가명)나이 : 8살성별 : 중성화 남품종 : 시바 이누주요 증상 : 낙상 후 좌측 후지 급성파행■ 내원 당시의 상태8살 령의 중성화 남자아이 복이(가명)는 소파에서 미끄러져 떨어진 이후 발을 잘 못 딛고 다리를 들고 있는 상태로 본원에 오게 됐습니다. 이번 낙상 이전에 다리를 쩔뚝이거나 불편해했던 병력은 없었습니다.■ 검사 방법/결과신체검사간단한 신체검사 상 좌측 고관절 탈구가 의심됐습니다.방사선 검사방사선 검사 상 좌측 고관절이 위쪽으로 탈구되어 있었고, 추가적인 골절 혹은 고관절의 퇴행성 변화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수술/치료 방법복이의 경우 고관절의 퇴행성 변화 없이 상대적으로 온전한 관절을 가지고 있었고, 외상에 의한 탈구가 발생한 이후 병원에 빠르게 내원했기 때문에 관절을 보존하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기로 했습니다.강아지 고관절 탈구 발생 시 관절을 보존하는 치료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환자를 진정시키고 탈구된 고관절을 비수술적으로 환납시키는 방법입니다. 환납 이후 본 환자와 같이 등 쪽으로 고관절이 탈구된 경우에는 ehmer sling이라고 하는 붕대법을 통해 발을 딛지 못하도록 관리해 주게 됩니다.고관절을 환납한 후 주변 조직이 안정화될 때까지 발 딛는 것을 제한 시키는 목적으로 환자에 따라 2주에서 8주까지 붕대 유지가 필요합니다.비수술적 탈구 환납 치료의 경우 심마취 및 수술을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치료 기간 동안에 붕대로 인한 심한 피부 쓸림, 근육량 저하, 재탈구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환자의 성격에 따라 붕대가 잘 유지되지 않고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두 번째로는 단열된 대퇴골 머리와 관골구 사이를 잡아주고 있는 원인대를 인공 인대로 재건해주고, 파열된 관절낭을 수복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이와 같은 수술적 탈구 환납 치료의 경우 환자의 활동성에 따라 수술 후 ehmer sling bandage가 필요한 경우도 간혹 있으나, 일반적으로 cage rest 와 같은 운동 제한만으로 술후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는 수술 후 상대적으로 빠르게 보행기능이 회복되기 때문에 비수술적인 치료보다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불편함이 크게 감소하는 장점이 있습니다.복이는 인공 인대를 통한수술적 환납 수술을진행하기로 했습니다. ■ 수술 치료 과정인공인대 수술의 경우 인공 인대를 통한 심부 감염이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멸균에 많은 신경을 써서 수술을 진행합니다.탈구된 고관절을 노출시킨 후 남아있는 단열된 기존의 원인대를 깨끗하게 제거해 주고, 인공 인대를 동일한 위치에 설치합니다.수술 중 관절면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인대 재건 수술이 적합한 환자인지 다시 한번 평가합니다.인공 인대가 설치되면 고관절은 원래 위치로 환납해 주고, 그 위로 파열된 관절낭은 잘 분리한 후 봉합합니다.이후 접근 시 분리했던 근막들을 정상적인 위치로 봉합해 주고, 마지막으로 피부 봉합하여 수술을 마치게 됩니다.■ 수술치료 경과, 결과수술 후 방사선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복이의 방사선 검사 결과 고관절이 정상적인 구조로 환납이 잘 되었고, 인공 인대가 계획된 위치에 잘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Ehmer sling bandage를 통한 비수술적 탈구 환납 치료 시에 환자가 많이 힘들어하는 부분은 배변활동입니다. 한쪽 다리를 딛지 못하게 하는 붕대이다 보니 대소변 볼 때 자세 잡기가 힘들고, 붕대가 대소변에 오염되기가 쉬워 위생적인 관리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반면 인공 인대를 통한 (Toggle Pin) 수술 치료를 진행하게 되었을 때에는 관절의 정상 기능을 빠르게 회복하기 때문에 치료 기간 중 불편함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 5일차 보행 평가에서 확인된 복이의 정상 보행과 원활한 배변 활동]강아지 고관절 탈구 수술 5일차, 2주 차, 원내 보행 평가 및 배변활동 모습 등수술 경과 영상 보러 가기수술 후 2주 차 재진시 보호자님께서는 복이가 보행상에 불편함 없이 잘 지내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원내 보행 평가 상에서도 정상적인 보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강아지 고관절 탈구는 환납, 붕대를 통한 비수술적인 치료, 인공인대 수술, 대퇴골두 절단술, 인공관절 등 다양한 치료 옵션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치료법은 모두 장단점들이 있습니다만 환자 개체별 특성과 보호자분께서 기대하시는 기능 개선 정도, 합병증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공인대를 통한 강아지 고관절 탈구 치료의 경우 상대적으로 빠른 보행기능 회복과 비수술적 환납 치료에 비해 낮은 재탈구율, 고관절을 보존하기 때문에 위관절을 형성하는 대퇴골두절단술에 비해 회복 후 다리 기능도 더 우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을 하더라도 나이가 들며 해당 고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수술 진행 전에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하는 부분입니다.치료 기간 중 운동 제한이 적절히 되지 않는다면 인공 인대가 조기에 끊어지며 재탈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 또한 알아두셔야 합니다. 또한 고관절의 관절면이 온전하지 않거나 퇴행성 변화가 있는 경우 수술 후 예후가 불량할 수 있어 수술이 지시되지 않아 환자가 수술에 적합한 대상인지 정확한 평가가 필수적입니다.갑작스러운 외상성 고관절 탈구로 인해 치료가 필요하시다면 주치의와 충분한 상의 후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원장 김종인
24.07.04 -
외과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인공인대 낭외고정술(LFS) 수술 치료
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인공인대 낭외고정술(LFS) 수술치료동물 이름 : 공주(가명)나이 : 10살성별 : 중성화 여품종 : 말티즈주요 증상 : 좌측 후지 급성 파행■ 내원 당시의 상태2kg의 10살 령 중성화 여자 아이 공주는 본원에서 MRI 촬영 후 뇌수두증, 환축추 아탈구(AAI), 척수공동증, 척추 전반의 디스크 질환으로 인한 운동실조 및 사지의 부분 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결손을 진단받았던 아이로, 보존적인 관리를 통해 일상생활이 가능한 정도의 증상 개선을 유지 중인 아이였습니다. 그러나 관리 한 달 차, 갑작스럽게 왼쪽 뒷다리의 심한 파행 증상을 보이며 다리를 딛지 못하는 상태로 내원하였고 정형외과 검사 결과 전방십자인대 단열이 확인됐습니다.■ 검사 방법, 검사 결과정형외과 검사 상 왼쪽 십자인대 단열을 추정할 수 있는 왼쪽 무릎 관절의 부종 및 Tibial compression test와 Cranial drawal test 양성 반응이 확인됐습니다.방사선 검사 상 정형외과 검사 결과와 동일하게 십자인대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왼쪽 무릎 관절의 염증 소견, tibial compression test 시 경골의 전방 변위가 확인됐습니다.공주는 4년 전, 타병원에서 슬개골 내측탈구 교정수술을 받았던 아이였고, 경골조면변위술 후 4년이 지났음에도 방사선 상 뼈 절골면의 완전한 유합 소견이 보이지 않은 상태로, 경골 조면을 이식한 부위의 골 피질과 절골편의 유착으로 붙어있는 상태라 고려됐습니다.이 상태에서 절골술을 통한 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교정을 진행하게 된다면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고려 할 수밖에 없는데, 첫째로 방사선 상 절골선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2개의 고정핀을 제거한다면 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경골조면 골편의 박리골절(avulsion fracture)에 대한 위험성이 있고, 둘째로 체중 2kg의 작은 뼈에 임플란트를 장착할 공간이 넉넉 않은 상태에서 무리해서 절골술을 진행했다가 추가적인 골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골유합이 지연되는 경우 임플란트의 피로골절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합병증 가능성을 생각해야 했습니다.공주는 완치되기 어려워 관리 중인 기저질환이 있는 아이였기 때문에 공격적인 절골술로 전십자 인대 단열을 교정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비침습적이고,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심각도가 낮은 편이며, 수술시간이 짧은 인공인대 낭외고정술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치료 방법강아지 전십자 인대 단열 치료를 위한 '십자인대 낭외고정술(LFS)'은 (8주 정도의 기간 동안 인공 인대가 조기에 끊어지지 않으면) 무릎관절 주변조직의 2차적인 섬유화를 통해 대퇴-경골간의 불안정성이 안정화되며, 보행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낭외고정술(LFS)은 강아지 십자인대 단열의 전통적인 수술 방법으로 TPLO, CTWO, CBLO, TTA 등과 같은 절골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술 성공률이 낮은 편으로 알려져 있지만, 적합한 환자에게 시술했을 경우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수술적인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인공인대 낭외고정술(LFS)을 진행했습니다. 우선 피부를 절개하고 이전 수술 시 삽입됐던 정형외과 핀을 확인했습니다.골유합 후 핀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끝을 구부려두었으나, 제거하지 않을 계획이고 피부가 얇아 핀끝이 피하에서 자극될 수 있어 끝을 짧게 잘랐습니다.이후 근막을 절개하고 비복근 종자골 (fabella) 위치를 확인했습니다. 경골 근위부에 횡터널을 뚫어 관절낭 바깥으로 전방십자인대를 대신 할 인공 인대를 설치했습니다.인공 인대가 잘 설치되어 경골의 전방 변위가 유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에 근막을 덮어 수술을 마무리했습니다.■ 수술치료 경과, 결과술 후 방사선 검사를 통해수술이 잘 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공주는 술 후 9일차 실밥 제거 및 붕대를 풀고 간 날부터 집에서 다리를 딛고 걷기 시작했다고 하셨고, 16일차 재진시에는 영상과 같이 체중 지지를 잘 하며 걸을 수 있을 정도로 호전됐습니다.공주는 현재 병발된 뇌수두증,환축추 아탈구(AAI), 척수공동증,척추 전반의 디스크 질환으로 인한운동실조와 관련된 신경증상도잘 관리하며 건강하게 생활하고 있습니다. 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은 비수술적인 보존적 치료, 인공인대 수술, 절골 수술 등 다양한 치료 옵션들이 있습니다.각각의 치료 방법에는 모두 장단점들이 있으며, 환자 개체별 특성과 보호자분께서 기대하시는 기능 개선 정도, 합병증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선택하게 됩니다.관련하여 치료가 필요한 아이와 생활하고 계신 보호자분께서는 주치의와 충분한 상의 후에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외과 부장 김선영
24.06.25 -
외과강아지 슬개골 탈구 + 십자인대 동시 수술법 (modified TPLO) 치료
강아지 슬개골 탈구 및 십자인대동시 수술법(modified TPLO) 치료 동물 이름 : 킴리(가명)나이 : 4살성별 : 중성화 남품종 : 치와와 주요 증상 : 좌측 슬개골 염발음을 동반한 탈구 3기/ 십자인대 단열 검사 양성 / 고도 비만 ■ 내원 당시의 상태4살 치와와 킴리(가명)는 왼쪽 뒷다리를 자주 절어왔고 최근 들어 다리를 불편해하는 증상이 더 확연해져 내원했습니다. 내원 당시 몸무게가 6kg 정도로 비만하였으며 왼쪽 뒷다리 근육량이 오른쪽에 비해 편측적으로 감소해 있었고 다리를 절뚝거리며 통증을 호소했습니다. ■ 검사 정형 검사 시, 슬개골 탈구는 3기로 높은 기수였고 탈구로 인한 정강이뼈 기형도 이미 있는 상태였습니다. * 더불어 십자인대 손상도 있었고 불편한 보행 증상에 기여하고 있었기에 슬개골 탈구, 십자인대 둘 다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습니다.# 십자인대 손상과 강아지 슬개골 탈구십자인대 손상 십자인대는 무릎에 위치하는 밧줄과 같은 인대로 허벅지뼈와 정강이뼈 안정화를 유지해 주는 중요한 구조입니다. 태생적으로 십자인대가 허약한 강아지들은 십자인대 손상으로 걸을 때 아파하거나 아예 딛지 못하는 경우까지 갈 수 있습니다.슬개골 탈구슬개골은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작은 뼈입니다.환납이 되지 않고 탈구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지내게 되면 무릎 구조에 손상이 가고, 영구적인 뼈 기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뼈 기형이 있는 상태로 오래 지내게 되면 관절염은 꾸준히 생기게 될 것이고 허약한 뒷다리로 인해 앞다리를 많이 쓰게 되면서 앞다리에도 무리를 가하게 됩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및 십자인대 손상 동시 개선 가능한 수술법 Modified TPLO십자인대, 슬개골 탈구 교정을 위한 각각의 수술이 있는데 만약 두 질환 둘 다 있을 경우 동시 개선 가능한 수술법은 Modified TPLO입니다. 하나의 수술법으로 십자인대 불안정성에 의한 임상증상도 개선해주고 슬개골 탈구로 인한 뼈 기형도 교정합니다. ■ 수술/치료 Modified TPLO 수술Modified TPLO 수술에 앞서철저히 수술 계획을 세웠습니다.정형 수술은 계획대로 이행해야높은 성공률이 가능하기 때문에이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프로그램(VPOP pro)을 사용하여 적절한 플레이트, 스크류 길이, 목표로 하는 각도 등을 계획한 후 보호자와 공유하면서 충분히 설명드렸습니다. 마취에 들어가기 전, 수술 과정, 입원 처치 과정, 퇴원 시 조심해야 하는 부분, 회복을 도와줄 수 있는 치료 옵션, 경과 과정도 면밀히 설명해 드렸습니다. *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에서는Modified TPLO 수술에 앞서환자의 품종, 체중, 비만도,뼈의 크기, 무릎의 각도를정확하게 측정합니다.더불어 환자의 개인적인 성향,생활 환경, 기저질환 등여러 요소를 같이 고려합니다. **Modified TPLO 수술을****진행했습니다.**계획한 대로 modified TPLO plate를 안정적으로 장착했습니다.* 계획한 위치에 플레이트가 장착된 것을 캘리퍼로 측정하여 확인합니다. 수술을 마무리 하기 전 재차 확인합니다. 1. C-Arm이라는 투시 기계로 실시간 다방면에서1)플레이트가 뼈에 적절히 안착되었는지2)스크류가 충분히 뼈를 잡아주고 있는지3)십자인대 단열로 인한 불안정성이 개선됐는지4)슬개골 탈구로 인한 정강이뼈 변위가 교정됐는지확실히 확인하고 수술을 종료했습니다. 2. 수술을 마무리하면서 손상된 연골 재생, 염증/통증 개선을 위한 반려동물 전용 관절 주사도 실시했습니다. ■ 수술치료 경과 및 결과* 플레이트는 안전한 위치에 장착됐고교정된 무릎 각도는 이상적입니다. * 킴리의 수술 후로 확인할 수 있는일반 TPLO와 modified TPLO 차이점*일반 TPLO와 다르게 수술 후위아래 뼈가 계단처럼 위치해 있습니다. 수술 후 방사선 검사 상, 계획한 대로 무릎의각도가 교정되었고, plate와 screw도 환자에맞게 잘 장착된 것이 확인됐습니다.수술 다음날부터 통증 완화와 빠른 회복을 위해적극적인 진통 처치, 극 저온 치료(cryotherapy)와레이저 치료를 실시했습니다.킴리는 수술 3일차다리의 붕대를 제거한 후체중 지지를 잘 하는 보행을 보였고,현재는 걷고 뛰는데 불편함 없이 잘 회복됐습니다.강아지 슬개골 탈구와 십자인대 손상은 안타깝게도 모두 강아지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정형 질환입니다.십자인대, 슬개골 탈구 교정을 위한 각각의 수술이 있는데 만약 두 질환 다 있을 경우 일타쌍피 개념으로 해볼 수 있는 수술은 Modified TPLO입니다. Modified TPLO 수술법은 십자인대 불안정성에 의한 임상증상도 개선하고 슬개골 탈구로 인한 뼈 기형도 교정합니다. 한 가지의 수술법으로 두 질환 모두 치료가 가능한 점이 다소 매력적으로 다가오겠으나, 그만큼 고난도의 수술인 만큼 전문 병원을 찾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원장 김종인
24.06.20 -
외과강아지 쿠싱/당뇨환자의 복강경 담낭 절제술(담낭 점액종)
강아지 쿠싱/당뇨환자의 복강경 담낭 절제술동물 이름 : 다즈(가명)나이 : 10살성별 : 중성화 남품종 : 푸들주요 증상 : 당뇨/쿠싱 내과적 관리중. 정기검진에서 담낭 점액종 진행이 확인됨■ 내원 당시의 상태 다즈(가명)는 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에서 당뇨와 쿠싱 질환을 관리받고 있는 아이로, 정기적인 건강체크에서 담낭 점액종이 발견되어 함께 모니터링하고 있었습니다.■ 검사 방법 및 검사 결과다즈에게는 정기적인 혈액검사와 초음파 검사가 이뤄졌습니다.혈액검사에서 ALP/GGT 등 간 수치의 지속 상승과, 초음파 검사상 담낭 점액종의 진행이 뚜렷하게 관찰됐습니다.강아지 담낭 점액종 : 담낭 점액종은 강아지의 간담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강아지 담낭 점액종이 진행되면 간수치 상승, 담낭염, 복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심각한 경우에는 담낭파열, 패혈증까지 일으켜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다즈에게 담낭 점액종이 지속 진행되고 있었고 추후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했습니다. 보호자 분과 상담 끝에,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 절제술을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강아지 담낭 점액종의 선제적(임상증상을 일으키기 전) 절제술은, 여러 연구를 통해서 담낭염/담도폐색/담낭파열 등의 임상증상이 발생한 후 실시한 담낭 절제술에 비해 사망률이 낮으며 매우 좋은 예후를 보이고 있음이 증명됐습니다.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외과수술팀강아지 복강경 담낭 절제 수술 모습복강경 담낭 절제술 : 강아지 복강경 담낭 절제술은 포트 장착을 위한 5mm-10mm 정도의 절개창만 필요하여, 일반적인 개복술 담낭 절제술에 비해 감염률이 낮으며/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강아지 복강경 담낭 절제술][절개 부위가 큰 개복 담낭 절제술 모습]다즈는 당뇨와 쿠싱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장점들을 더욱 고려하여 복강경 담낭 절제술을 결정하게 됐습니다.■ 수술 치료다즈의 건강 상태를 철저히 확인 후 마취과 수의사(서울대 마취통증의학과/상주 수의사)가 안전하게 마취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다즈의 복강경 담낭 수술이 진행됐습니다. 1. 먼저 간, 담낭을 확인하고 세밀히 탐색했습니다.2. 주변 조직으로부터 담낭관을 분리했습니다.3. 복강경 전용 클립을 이용하여 담낭관을 결찰했습니다. 4. 결찰 부위 절제 후 간으로부터 담낭을 분리하여 제거했습니다.절제된 담낭의 모습입니다.담낭 내 슬러지가 가득 차 있는 모습을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술 경과, 결과복강경 담낭 절제 수술은 무사히 잘 끝났고, 아이도 마취에서 잘 깨어났습니다. 다즈는 수술 다음날부터 식욕을 회복했고, 바이탈도 안정적이었습니다. 당뇨 관리를 위한 며칠간의 입원 처치 후, 아주 좋은 활력 상태로 퇴원했습니다.[수술 3일차 모습]복강경 포트 장착을 위한 작은 수술 절개창만 있었기 때문에 당뇨와 쿠싱을 앓고 있음에도 다즈의 수술 부위는 빠르게 회복됐습니다.[수술 3주차 모습]수술 3주 차에는 수술 부위가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가 됐습니다. 다즈는 지금 보호자와 함께일상생활을 하며 잘 지내고 있습니다.강아지 담낭 점액종은 초기에 특별한 임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을 수 있고, 혈액검사에서도 간수치 상승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정확한 진단은 초음파 검사와 함께 이뤄져야 하고,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담낭 점액종 단계에 맞는 적절한 처치가 중요합니다.아이에게 구토, 식욕저하, 황달 등의 담낭 점액종 증상이 나타났거나 담낭 이상이 의심될 때에는 빠른 시일 내에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외과 부장 김선영
24.06.13 -
외과개/강아지 AAI에서 3d printing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개/강아지 AAI에서 3d printing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Clinical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to the surgical treatment of AAI 동물 이름 : 규리(가명) 나이 : 4살성별 : 여품종 : 토이푸들주요 증상 : 강직, 유연 증상■ 내원 당시의 상태4살 령 여자아이 규리(가명)는 갑작스러운 강직 및 유연 증상으로 본원에 오게 됐습니다. 의식은 있었으나 스스로 중심을 잡지 못해 쓰러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규리는 4년 전 마비 병력이 있는 아이였습니다.■ 검사 방법, 검사 결과신경 검사1. 좌측 head turn과 circling이 확인되었습니다. 2. 뇌신경 검사 상 NRF뇌내성 혹은 경추 문제의 감별을 위해 MRI 촬영을 계획했습니다.MRI 촬영 결과 1. C2의 등 쪽 변위와 이로 인한 실질의 심한 등 쪽 방향 압박. Dens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습니다.2. 소뇌에 무정형으로 고신호 영역이 관찰됐습니다.3. 좌측 측두엽과 우측 측뇌실 주변에서 경미한 고신호 영역이 관찰됐습니다. MRI 촬영 결과 AAI(atlantoaxial instability) 와 소뇌 infarction이 확인됐으며 이 둘이 복합적으로 보행 실조, head turn 및 circling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됐습니다. 이외에도 좌측 측두엽과 우측 측뇌실 주변의 초기 염증 가능성 및 특발성 경련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항경련제의 복용을 시작했습니다.■ 수술 및 치료 방법규리는 보존적 처치에도 빠른 신경 반사의 저하가 관찰되어 CT 촬영 후 3D printing을 통한 AAI 교정 수술을 계획했습니다.CT를 통해 3D printing으로 규리의 골 모형을 제작했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스크류의 장착 위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수술을 계획했습니다...수술과정먼저 첫 번째 경추와 두 번째 경추를 노출시킨 후 두 경추의 관절 부위를 확인했습니다.관절 부위를 부드럽게 움직이면서 불안정성을 확인했고, 이로 인해 두 번째 경추가 척수 실질 쪽으로 변위된 것으로 관찰됐습니다.3D printing으로 제작한 가이드를 이용하여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추에 계획한 대로 스크류를 장착했습니다.경추 사이의 관절 부위의 골 신생을 돕기 위해 상완골에서 자가 골을 채취하여 관절 부위에 이식했습니다.마지막으로 관절 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PMMA를 도포하고, 굳으며 발생하는 열에 의한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완전히 굳을 때까지 멸균생리식염수로 열을 식혀 주었습니다.술 후 방사선 검사상, 계획한 대로 스크류를 장착하여 첫번째와 두번째 경추 사이의 관절을 고정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수술 치료 경과, 결과강아지 AAI 교정 수술 후 2일차부터 신경 반사가 개선되기 시작했고, 몸의 중심을 잡는 능력은 떨어지나 스스로 보행이 가능했습니다.(좌측 head turn과 몸의 중심을 잡는 능력의 저하는 소뇌 경색에 의한 것으로 고려됐습니다.)술 후 2주 차 재진 시 head turn과 몸의 중심을 잡는 능력, 보행 능력이 뚜렷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강아지 AAI는 비수술적인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교정과 같은 치료 옵션이 있습니다. 규리와 같은 소형견은 수술적 교정 시 스크류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많지 않으므로, 3D printing을 이용한 계획을 통해 정확한 장착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강아지 AAI 의심 증상이 발생했을 때는 상태에 따라 적합한 방법으로 치료하여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증상이 발생한다면 반드시 주치의와 충분한 상의 후에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원장 김종인
24.06.04 -
외과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CTWO 수술 치료
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CTWO 수술 치료동물 이름 : 레디(가명)나이 : 5살성별 : 중성화 남품종 : 비숑주요 증상 : 좌측 후지 급성 파행■ 내원 당시의 상태5살 령의 중성화 남자아이 레디(가명)는 왼쪽 뒷다리를 딛지 못해 내원했습니다.레디는 3일 전 계단을 오르다 삐끗한 이후 다리를 딛지 못하고, 가까운 병원에서 처방받은 진통제 복용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본원에 방문하게 됐습니다.■ 검사 방법 및 검사 결과cranial drawal test정형외과 검사상 양측 고관절의 신전 검사 시 통증 반응, 왼쪽 무릎 관절의 부종 및 Cranial drawal test 양성반응, 왼쪽 슬개골 탈구가 확인됐습니다.방사선 검사 상 정형외과 검사 결과와 동일하게 양측 고관절 이형성증, 슬개골 탈구, 십자인대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좌측 무릎관절 염증소견이 확인됐습니다. 내원 당시 보였던 파행증상은 십자인대 질환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고, 슬개골 탈구는 여러 정황상 전방 십자인대 단열로 경골의 내회전이 발생하며 생긴 이차적인 증상으로 추정됐습니다. 고관절의 이형성증 또한 파행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다리를 딛지 못하는 당시의 상태는 고관절 이형성증보다는 십자인대 질환과 관계가 높다 판단하여 좌측 전방십자인대 단열의 수술적 교정만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치료 방법레디는 조금 더 안정적인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절골수술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환자 특성상 골격이 작고, 높은 경골 고평부 각도(eTPA)를 가지고 있어 TPLO보다는 CTWO 수술을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modified cranial closing wedge osteotomy(Modified cranial closing wedge osteotomy to treat cranial cruciate ligament deficient stifles with excessive tibial plateau angles: Complications, owner satisfaction, and midterm to long-term outcomes Alex Terreros DMV, IPSAV | R. Mark Daye DVM, MS, DACVS)일반적인 CTWO 수술법은 교정해야 할 경골 고평부 각도가 클수록 절제될 뼈의 크기도 커진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변형된 CTWO 수술법을 통해 단점을 보완하는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 수술 및 치료 경과, 결과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치료를 위해 다음과 같이 CTWO 수술을 계획했습니다.절제될 뼈의 범위를 표시한 뒤 술전 계획한 만큼의 뼈를 쐐기 모양으로 절제했습니다. 절골면을 정복한 후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고정했습니다. ■ 수술치료 경과, 결과 술 후 방사선 검사상 계획한 대로 경골 고평부의 각도가 교정되었고, 플레이트와 스크류도 환자에 맞게 잘 장착된 것이 확인됐습니다.슬개골 내측 탈구 역시 십자인대 교정 후에 안정화됐습니다.수술 전 계획한 대로 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수술(CTWO)이 잘 진행된 것을 확인했습니다.수술 후 4일차 레디의 모습입니다. 다리의 붕대를 제거하고 체중 지지를 잘하는 보행을 보였습니다.수술 후 12일차에 실밥을 제거했습니다. 보호자분이 파행이 완전히 개선되었다고느끼실 만큼 잘 회복됐습니다.강아지들의 전방 십자인대 단열은 비수술적인 보존적 치료, 인공인대 수술, 절골 수술 등 다양한 치료 옵션들이 있습니다.각각의 치료 방법에는 모두 장단점들이 있으며, 환자 개체별 특성과 보호자분께서 기대하시는 기능 개선 정도, 합병증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선택하게 됩니다.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로 인해 치료가 필요한 경우 주치의와 충분한 상의 후에 우리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외과 과장 정동윤
24.05.22 -
외과강아지 요로결석 무절개 쇄석술 치료 케이스
강아지 요로결석 무절개 쇄석술 치료 케이스동물이름 : 푸딩이(가명)성별 : 수컷품종 : Pomeranian주요 증상 : 배뇨곤란■ 내원 당시의 상태 푸딩이는 최근 배뇨곤란 증상이 관찰되어 방문했습니다. ■ 검사 및 진단검사 후 푸딩이에게 결석이 발견됐습니다. 강아지 요로 결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합니다.식이가 잘못됐거나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도 발생하고 세균감염, 미네랄 및 단백질 과다 섭취 등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푸딩이처럼 요로 결석이 생겨날 시 요실금이나 요독증을 보일 수 있으며 혈뇨, 복통, 다뇨 배뇨 장애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초음파 검사 푸딩이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자 방사선과 초음파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영상의학과 의료진이 정밀하게 검사하고 진단했습니다.방사선과 초음파 검사 결과 상 푸딩이의 요도 내 결석이 또렷하게 확인되었습니다. ■ 수술 / 치료확인된 요도 내 결석 제거를 위해 [방광경 시술]이 진행됐습니다. 초소형 방광경을 통해 확인된 요도 내 결석결석 쇄석술에 최적화된 홀뮴 레이저를 이용해 '무절개 결석 수술'이 진행됐습니다. 홀뮴레이저는 다른 레이저들과는 달리 절개 효과와 응고 효과를 모두 가진 2,100nm 파장의 레이저로, 에너지의 효과적인 전달, 적은 열 손상 효과 등의 특성이 있습니다. 홀뮴 레이저를 이용해 주변 열손상을최소화하며 결석을 파쇄하는 모습(VIP동물의료센터 블로그 내 동영상)홀뮴 레이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확산이 잘되지 않아 열로 인한 손상 부위는 매우 좁고, 조직 침투 깊이가 약 0.3mm로서 시술 시 주변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물속에서 에너지 전달이 효과적이라 더욱더 빠르게 결석을 파쇄할 수 있습니다. 홀뮴레이저로 레이저 파쇄되어 쪼개진 결석 모습* 푸딩이의 결석 파쇄 시 홀뮴 레이저를 이용해 주변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며 진행했습니다. 결석이 파쇄된 후 꺼내지는 모습(VIP동물의료센터 블로그 내 동영상)전용 포셉을 이용하여 쪼개진 푸딩이의 요로결석을 깨끗하게 제거했습니다.■ 치료 경과 / 결과결석이 깨끗하게 제거된 요도 모습결석이 깨끗하게 제거된 모습무절개 쇄석술을 통해 강아지 요로 결석이 완전히 치료됐고 입원 없이 당일 퇴원했습니다. 푸딩이의 보호자분께서는 원활히 치료되고 당일 퇴원하게 되어 기뻐하셨습니다.홀뮴 레이저를 이용한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의 강아지 요로결석 수술은 무절개, 통증이 최소화되는 안전한 수술입니다.최소 침습 레이저 수술로 결석을 정확히 제거하며 빠른 회복이 가능합니다.강아지 요로결석 증상으로 인해 치료를 고려중이시라면 통증과 회복기간이 최소화 되는 '무절개 결석수술'로 치료를 진행하세요.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원장 김지현
24.05.17 -
외과강아지 전립선 종양 수술, 이행상피세포암종, Transitional Cell Carcinoma(TCC) 치료 및 항암
강아지 전립선 종양 수술, 이행상피세포암종, Transitional Cell Carcinoma(TCC) 치료 및 항암동물 이름 : 찰스(가명)나이 : 9y성별 : 중성화 수컷품종 : 슈나우저주요 증상 : 빈뇨■ 내원 당시의 상태 찰스는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요실금 증상과 혈뇨가 있어 타 병원 내원했으나 치료 진행해도 개선이 없어 본원에 내원하게 됐습니다.■ 검사방법, 검사결과복부 방사선 - 복부 방사선 상에서 원래 보이지 말아야 될 확장된 구조물이 확인됐습니다. 이는 전립선의 종대로 인한 것으로 판단됐습니다. 복부초음파 - 복부초음파 상 전립선 내 액체 저류가 관찰되며 심한 확장이 확인됐습니다. (두 번째 사진). 전립선 내 게실 의심되어 CT 검사를 진행했습니다.CT 검사 - CT 상 전립선 요도 내 요도 벽 경계가 불분명하며, 전립선 내 저류된 요가 확인되는 바, 전립선 요도의 벽 손상 의심됐습니다. 따라서 악성종양 감별과 구조 및 형태 파악을 위해 방광경, 조직 검사를 계획했습니다.방광경으로 구조 확인 및 조직 검사 - 방광경으로 구조 확인 및 조직 검사 실시했습니다. 전립선 요도 괴사 소견 확인됐습니다. 정확한 강아지 종양 진단을 위해 조직 채취를 진행했습니다. 초음파에서 보였던 방광목의 융기된 병소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BRAF hotspot 염기서열 분석] 소변에서 BRAF 돌연변이가 검출됐습니다. (Mutant type 서열 확인)[Fluorescent probe genotyping을 이용한 정량분석] 소변에서 BRAF 돌연변이가 검출됐습니다. (Mutant 증폭 확인)BRAF 검사 - 악성종양 관련 유전자 변이 있는지 확인 위해 BRAF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양성으로 확인됐습니다.방광경을 통한 부분 조직 검사 결과 - 찰스는 이행상피세포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 TCC)으로 진단됐습니다. 검사 결과 찰스는 전립선 이행상피세포암종, transitional cell carcinoma(TCC) 혹은 Urothelial cell carcinoma로 진단됐습니다. 강아지 방광, 전립선 종양에서 가장 호발하는 종양이며, 주변 장기로의 침습 및 전이률이 높아 악성도 높다고 일컬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본 종양은 요로 폐색을 유발할 수 있어, 종양 자체의 전이도 문제지만 폐색에 의한 수신증으로 인한 문제가 흔히 발생합니다. 해당 종양은 악성도가 매우 높아 바늘로 세포를 흡인하는 세침흡인검사 만으로도 전이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진단이 어려우며, 요관, 요도 위치 문제로 수술 자체도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어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종양 중에 하나 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은 조직 검사도 불가능하며, 수술도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는 종양이었습니다. 그러나 본 환자의 경우 전립선 전적출을 시도해보기로 하였습니다. ■ 수술 및 치료전립선 종양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인 전립선 전 적출을 실시했습니다. 전립선 종양 수술은 수술 적용의 난이도로 인해 색전술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보통이나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에서는 수술로 찰스의 전립선 종양을 제거했습니다.종양 전체 조직 검사 - 강아지 종양 전체에 대한 조직 검사 시에도 TCC (transitional cell carcinoma)라고 불리는 이행상피세포암종으로, 앞선 조직 검사 결과와 동일한 악성종양으로 진단됐습니다.항암치료 - 수술 직후, 강아지 종양 세포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아 완전한 종양세포 제거를 위해 항암치료를 진행했습니다. ■ 수술 및 치료 경과, 결과수술 2주 차수술 후 1달 차 - 항암제 투여를 시작했습니다.방광목 부분의 융기 된 병변을 볼 수 있습니다. 수술 후 항암제 투약 전까지 더 비후된 것 확인됐습니다.수술 후 2달차 - 항암 치료를 지속했습니다.수술 후 3달차 - 항암 치료를 지속했습니다.수술 후 4달차 - 항암 치료를 지속했습니다.* 항암치료 지속하며 융기됐던 곳이 점점 완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수술 후 5달차 - 항암 치료를 지속했습니다.수술 후 6달차 - 항암 치료를 지속했습니다.* 항암치료를 지속하며 융기됐던 곳이 점점 완화되었고 정상 범위에서 유지 중입니다.치료 전후 Fluorescent probe genotyping 을 이용한 정량분석 결과강아지 전립선 종양 수술 전강아지 전립선 종양 수술 후 4개월 뒤 (항암치료 3개월 뒤)강아지 전립선 종양 수술 후 7개월 뒤 (항암치료 6개월 뒤)* 요 중 순환 종양 유래 핵산 정도가 지속 감소 중입니다. 아직 양성 확인되어 항암치료 지속 중입니다. 강아지 방광, 전립선 종양은 악성도가 매우 높아 바늘로 세포를 흡인하는 세침흡인검사 만으로도 전이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진단이 어려우며, 요관, 요도 위치 문제로 수술 자체도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어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종양 중에 하나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은 조직 검사도 불가능하며, 수술도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는 종양이었습니다. 따라서 종양을 가진단하고, 이 불완전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항암치료를 보통 진행해왔습니다. 그러나 본원에는 초소형 내시경을 통해 방광, 요도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으며, 외부에서 침습적인 접근 없이 내부에서 안전하게 조직 채취가 가능합니다. 또한 방광이나 요도 종양이라면 한 번의 마취로 조직 검사와 동시에 홀뮴 레이저를 통한 종양 세포 레이저 절제가 가능합니다. 그동안 전립선 종양은 수술이 불가하다고 알려져왔으나, 본원에서는 성공적인 수술 케이스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후 항암치료를 통해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강아지 전립선 종양으로 인해 수술이 필요하시다면 풍부한 경험을 가진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수의사와 논의 후 최적의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VIP동물의료센터 동대문점 원장 고한아, 김지현
24.05.17 -
외과강아지 치주염, 수술적 치근활택술을 통한 치료
강아지 치주염, 수술적 치근활택술을 통한 치료동물이름 : 섭이(가명)나이 : 7세성별 : 남아 품종 : 치와와주요 증상 : 치석, 구취■ 내원 당시의 상태섭이는 심한 치석과 구취를 보이기 시작하여 내원했습니다.여태까지 양치는 물론 전문적인 스케일링도 받아본 이력이 없었기 때문에 보호자님께서는 이참에 정밀 검진도 같이 진행하고자 하시어, 마취 전 검사 후 치과 치료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 검사 방법, 검사 결과 혈액검사를 포함하여 흉부 방사선, 복부 초음파, 심전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다행히도 큰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아 마취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구강 정밀 검사 결과, 치석이 우측 하악 송곳니(404)보다 좌측 하악 송곳니(304)에 더 많이 쌓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또한 좌측 하악 송곳니(304)의 치주 고랑 깊이가 10mm로 측정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좌측 하악 앞니가 1mm 가량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치아 방사선에서도 304 치아 주변의 치조골이 소실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다행히도 치아 뿌리 쪽 병변이나 골염의 소견은 없었기에 건강한 치주 조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치주염이 진행된 좌측 하악 앞니들을 발치하고 304 치아 주변의 염증을 수술적 치근활택술을 통해 제거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치주염이란?치주염은 치주 조직에 생기는 염증입니다. - 치주조직은 치은(gingiva), 백악질(cementum), 치주 인대(periodontal ligament), 치조골(alveolar bo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치아를 둘러싸고 치아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며 치아에 필요한 영양을 공급해 주는 조직입니다.- 이러한 치주 조직에 생기는 염증을 치주염이라고 합니다. 치주염은 주로 구강 내 세균과 침, 음식물이 범벅되어 생기는 플라그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치주염이 심할수록 치주 고랑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고, 깊어진 고랑은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강아지 치주염을 더 악화시키게 됩니다.- 치주염이 심해질수록 구취가 심해지며 통증이 유발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치은 열구에 쌓인 플라그를 물리적으로 제거해 주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수술 및 치료 방법치주 고랑의 깊이가 5mm 이하인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근활택술로 치주 고랑에 있는 염증 물질과 치석 및 플라그를 제거할 수 있지만, 섭이의 경우처럼 6mm가 넘어가는 치주 고랑을 치료하기 위해선, 수술적 치근활택술을 진행해야 합니다.수술적 치근활택술이란 비수술적 치근활택술과는 다르게 잇몸을 절개하여 치주 고랑을 직접 확인하며 치주 고랑의 염증 물질들을 제거해 주는 수술입니다.수술적 치근활택술 외에도 치주 조직의 멸균 및 치주 조직의 재생을 촉진해줄 수 있는 플라즈마 치료와 치주 조직 재생 연고를 같이 도포해 주었습니다.■ 수술 치료 전/후섭이의 수술 전/후 사진입니다. (아래)수술 전에 비해 치주 고랑의 깊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치아의 길이가 길어 보입니다.■ 수술 치료 경과 / 결과수술 일주일 후 재진시 모습입니다. 수술 전에 비해 잇몸의 염증이 현저히 줄어들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치주 고랑의 깊이도 3mm로 정상적인 치주 고랑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치태가 활성화될수록 붉게 나타나 치태의 활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광형광검사”에서도 수술 부위에 치태가 쌓여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섭이의 첫 번째 치과 수술 치료는 다행히 큰 문제 없이 무사히 잘 마무리되었고 소중한 송곳니도 지킬 수 있었습니다. :)꾸준한 양치와 정기 치과 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해 주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강아지 치주염이 많이 진행되면 발치 외에는 치료 방법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강아지의 음식 섭취를 위해, 부디 정기적으로 치과에 방문하시어 강아지 치주염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치과 과장 이성혁
24.04.03 -
외과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TPLO수술 치료
강아지 전십자인대 단열 TPLO 수술 치료동물이름 : 첸이(가명)나이 : 8살성별 : 중성화 남품종 : 비숑주요 증상 : 좌측 후지 급성 파행■ 내원 당시의 상태8살 령의 중성화 남자아이 첸이(가명)는 소파에 오르다 갑자기 소리 지르며 주저앉았고, 이후 왼쪽 뒷다리를 딛지 못하여 본원에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첸이는 6개월 전 오른쪽 십자인대 단열로 TPLO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아이였습니다.■ 검사 방법, 검사 결과정형외과 검사 상 왼쪽 십자인대 단열을 추정할 수 있는 왼쪽 무릎 관절의 부종 및 Tibial compression test와 Cranial drawal test 양성반응이 확인되었습니다. (왼쪽 슬개골 내측 탈구가 확인되었습니다.)VIP동물의료센터 네이버 블로그 동영상 방사선 검사 상 정형외과 검사 결과와 동일하게 십자인대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왼쪽 무릎관절의 염증소견, tibial compression test 시 경골의 전방 변위가 확인되었습니다.또한 내측 슬개골 탈구가 동반되어 있었습니다. ■ 수술 치료 및 방법좌측 슬개골 내측 탈구 및 전방십자인대 단열의 수술적 교정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첸이는 6개월 전 반대쪽 십자인대 단열을 TPLO 방법을 이용해 교정 한 병력이 있고, 현재 잘 회복하여 다리를 잘 쓰고 있었기 때문에, 동일한 방법의 수술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위와 같이 수술을 계획 했습니다.우선 무릎관절을 노출시킨 후 관절의 탐색을 진행했습니다.첫째로 낮게 형성된 무릎뼈 고랑과 내측 연골의 마모 정도를 확인했습니다.단열된 강아지 전방십자인대를 육안적으로 확인했습니다.이후 무릎뼈가 고랑 안에서 잘 주행할 수 있도록 활차구 성형술을 통해 고랑을 깊게 만들어 주는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끊어진 전방십자인대는 관절 내에서 지속적인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리한 수술도로 깨끗하게 제거해 주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이후 십자인대단열 교정을 위한 TPLO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절골 후 골편의 변위를 막아주기 위한 지그 장치를 설치한 후, 수술 전 계획했던 각도로 골편을 돌려준 뒤 플레이트 및 스크류를 이용해 단단하게 고정했습니다.■ 수술 치료 경과, 결과술 후 방사선 검사상 계획한 대로 경골 고평부의 각도가 교정되었고, 플레이트와 스크류도 환자에 맞게 잘 장착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계획한 대로 TPLO수술이 잘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첸이는 술 후 5일차부터 발을 땅에 딛기 시작했고, 술 후 2주 차 재진시 보호자분은 산책 나가면 다리를 잘 딛고, 실내에서는 약간 다리를 덜 딛는 경향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술 후 6주 차 재진시에는 오래 앉아있다가 일어서면 수술한 다리를 잠시 들고 있는 관절염 증상 이외에, 하루 2회 30분 정도씩 산책하는 동안 보행상에 문제는 없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첸이는 일반적인 TPLO 수술을 진행한 아이들보다 술후 관절염 및 불편감이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어 레이저 치료 및 관절주사 치료를 추천드렸습니다.)13 주차 재진시에는 양측 뒷다리 정상 근육량을 모두 회복했고, 보호자분도 아이가 다리를 불편해하는 증상이 없다고 느끼실 정도로 호전되었으며, 절골한 뼈의 유합도 다 이루어져 치료 종료하였습니다.강아지 전방 십자인대 단열은 비수술적인 보존적 치료, 인공인대수술, 절골 수술 등 다양한 치료 옵션들이 있습니다.각각의 치료 방법에는 모두 장단점들이 있으며, 환자 개체별 특성과 보호자분께서 기대하시는 기능 개선 정도, 합병증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향을 선택하게 됩니다.만약 강아지 전방 십자인대 단열 TPLO수술이 필요할 경우, 주치의와 충분한 상의 후에 우리 아이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VIP동물의료센터 청담점 외과 과장 정동윤
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