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동물의료센터 학술활동] 간에 전이된 고양이 비장 비만세포종양 (Splenic mast cell tumor) 에 비장절제술 및 Toceranib 적용의 치료 증례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2-03-21
- 조회수
- 2,854
간에 전이된 고양이 비장 비만세포종양 (Splenic mast cell tumor) 에 비장절제술 및 Toceranib 적용의 치료 증례
VIP동물의료센터 성북점 김도윤 전)내과팀장 / 남소정 내과과장 / 이연희 수의사
서론
고양이 비만세포종양 (Mast cell tumor , MCT) 은 림프 유래 종양 및 유선 유래 종양 다음으로 고양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종양이다.(1)
일반적으로 피부 비만세포종양(Cutaneous MCT) , 비장 비만세포종양(Splenic MCT) , 장 비만세포종양(Intestinal MCT) 세 분류로 구분되며, 이 중 비장 비만세포종양은 고양이의 비장 종양 중 15~27 %의 발생률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종양이다. (2,3) 평균 발생 연령은 9-13년령으로, 노령일수록 발생률은 증가하며 종 및 성별 호발성은 보고되어있지 않다.(1.2.4)
고양이의 비장 비만세포종양 은 주로 피부 비만세포종양을 동반하지 않지만 드물게 다발성 피부비만세포종양에서 비장 비만세포종이 병발한 증례가 보고된다(5). 주된 증상으로 식욕부진, 체중 감소, 복부 팽만 및 빈혈 등을 나타내며, 말초 혈액에서 비만세포가 확인되는 Mastocytemia 가 발생한다. 간, 복강 내 림프절, 골수, 폐 그리고 장 에서 비만세포 종양의 전이가 확인되며, 약 1/3 증례에서 다량의 호산구 및 비만세포를 포함하는 흉수.복수가 확인된다. (5,6) 기본적인 치료 방법으로 비장 절제술을 시도 할 수 있으며, 다른 장기로의 종양 전이가 확인되는 전신 비만세포종양 (Systemic MCT) 에서도 수술이 지시된다. 비장절제술만 진행할 경우, 평균 생존 기간(MST, Median Survival times)은 11-19 개월로 보고 되고 있으며, 식욕부진, 체중감소, 빈혈, 복강 림프절 전이 , Mastocytemia 가 지속 될 경우 불량한 예후가 보고된다.(5.6.) 현재 비장 비만세포종양에 대한 표준화된 항암치료가 확립 되어있지 않으나, Vinblastine , Lomustine (CCNU), TKI (Tyrosine Kinase Inhibitor) 등 다양한 항암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7),(8),(9) 이번 증례에서는 비장 비만세포종양이 간에 전이된 고양이의 증례에서 비장 절제술과 함께 진행한 Toceranib (Palladia) 항암제 1년 투약 효과에 대한 치료 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증례
환자는 6 kg 의 10살령의 중성화 한 암컷 Korean short hair로 내원 삼일 전부터 발증한 구토 및 복부 팽만을 주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상 파동감 있는 복부팽만이 확인되었으며 혈액 검사상 중등도의 빈혈 (HCT 20.7) 과 말초 혈액 도말 검사에서 비만세포가 확인되었다. (그림1)
|
|
|
|
|
|
|
|
기타 혈액 검사 결과는 정상으로 확인되었다. 복부 초음파상 비장 실질의 심한 종대 및 불균질한 에코성 변화가 (그림2) 확인되어, 침윤성 종양 가능성이 고려 되었으며 복강내 다량의 복수가 확인되었다. 정밀 평가를 위한 CT 검사상 비장의 심한 종대 와 간 전체 엽에 침윤성 종양의 이환 소견이 확인 되어 해당 종양의 전이 가능성 고려되었다. (그림3)비장 실질의 세침 흡인검사상 (FNA) 다수의 비만세포들이 확인되었으며 (그림4), 간 실질의 세침 흡인 검사에서도 다수의 비만세포가 확인되어 비만세포종양의 전이가 확인되었다. (그림5) 또한 복수 검사에서도 비만세포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그림6) 종합적인 검사결과 고려 시 비장 비만세포종이 간으로 전이 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복수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환자는 내원 다음날 비장절제술 및 간 조직 생검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3일간 회복 치료 과정을 거친 후 퇴원하였다. 비장 및 간의 조직 검사 결과 비만세포 종양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그림 7)
비장 절제술 이 후 약 2주 경과시점에서 말초 혈액에서 비만세포가 지속적으로 다수 확인되었으며, 이에 Toceranib 15mg (2.5mg/kg) 월/ 수/ 금 투약 방법으로 항암치료를 시작하였다. 1년 투약 기간 동안, 가벼운 구토,설사 (VCOG-CTCAE Grade 1) 외의 두드러진 항암치료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투약 10개월 경과시점에서 환자의 체중 감소에 따라 항암제 용량을 감소하여 같은 투약 방법으로 치료 재개하였다 (2.37mg/kg, 월/수/금)
진단 초기 당시 환자의 위중하였던 빈혈 상태는 항암치료를 진행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개선이 되었으며 약 6개월 경과시점에서 정상 범위로 확인되었다. (그림 8)
또한 진단 초기 시점부터 확인된 말초 혈액에 비만세포 (Mastocytemia) 의 경우, Toceranib 투약 10개월 경과시점까지는 확인되었으나, 1년 경과 시점에는 말초 혈액 과 Buffy coat 검사 모두에서 확인 되지 않았다. 전이가 확인된 간의 경우, Toceranib 투약 시작 전 단계 부터 간 혈액검사 지표들 (ALT,AST,ALP)은 모두 정상 범위 이내로 확인되었으며, 1년 투약 기간 동안 모두 정상 범위로 지속 확인되었다. 또한 투약 1년 경과 시점 당시 진행한 복부 초음파 검사상 불균질한 간 실질은 개선이 확인되었으며 , 복강내 복수는 추가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고찰
고양이 비장 비만 세포 종양은 다른 장기로의 전이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복강 림프절 , 간 그리고 골수로의 전이가 진단 시점에 흔히 확인이 된다. 빈혈, 복강 림프절 전이 , Mastocytemia 가 확인 될 시 불량한 예후가 보고되고 있다.(5,6) 고양이 비장비만세포종양 치료에 있어 비장절제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암치료 방법 (Vinblastine, CCNU, Chlorambucil 등) 이 적용 되어 왔지만, 비장절제술 단독 치료와 항암치료 병행과의 평균 생존기간은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7,8) 또한 전이를 갖는 비장비만세포종양에서 비장절제술 단독적인 치료 진행시 약 70 % 에서 종양의 진행으로 사망이 확인되었다.(7) 그러나 고양이 피부 비만 세포종양과 비장비만세포종양에서 C-kit mutation의 비율이 각각 62~68 % , 60 % 확인됨에 따라 강아지 비만세포 종양 치료 방법 중 하나인 Tyrosine Kinase Inhibitor 의 적용 가능성이 고려 되었다. (10) 이 후 Toceranib (Tyrosine Kinase inhibitor)을 고양이 비장비만세포종양 적용한 연구에서 유의적인 임상적 효과가 약 80%로 확인되었다. (9) 이번 증례에서는 간으로의 전이가 확인된 1마리의 고양이 비장비만세포종양에서 비장 절제술과 함께 Toceranib 을 비교적 장기간인 1년 동안 투약하며 그 효과와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치료시작 전 중등도의 빈혈과 Mastocytemia 가 불량한 예후 인자 지표로 확인 되었지만, Toceranib 투약이 진행됨에 따라 빈혈은 점진적인 개선이 확인되었고, 투약 경과 1년 시점에서 말초혈액 및 Buffy coat 검사에서 Mast cell 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영상검사상 간 실질의 불균질성이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동시에 추가적인 복수 재발도 확인되지 않았다. 1년 투약 기간 중, VCOG-CTCAE Grade 1 의 소화기 증상 외에 심각한 골수 억압 등의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고양이 비장비만세포 종양에서 비장절제술 과 Toceranib 의 장기간 적용 치료 방법은 비교적 안전하며, 그에 따른 임상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Spangler WL, Culbertson MR. Prevalence and type of splenic diseases in cats: 455 cases (1985–1991). J Am Vet Med Assoc 1992;201:773–6.
2. Allan R, Halsey TR, Thompson KG. Splenic mast cell tumour and mastocytemia in a cat: cas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N Z Vet J. 2000;4:117-121
3. Gordon S, McClaran JK, Bergman PJ, Serena ML. Outcome following splenectomy in cats. J Feline Med Surg. 2010;4:256-261.
4. Feinmehl R, Matus R, Mauldin GN, Patnaik A. Splenic mast cell tumors in 43 cats (1975-1992). Proc Annu Conf Vet Cancer Soc. 1992;12:50.
5. Skeldon NCA, Gerber KL, Wilson RJ, et al. Mastocytaemia in cats: prevalenc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methods, haematological associations and potential implications in 30 cats with mast cell tumors. J Feline Med Surg 2010;12:960–6.
6. London CA, Thamm D. Mast cell tumors. In: Withrow SJ, Vail DM, eds. Small Animal Clinical Oncology. 5th ed. St. Louis, MO: Saunders Elsevier; 2012:335.
7. Kraus KA, Clifford CA, Davis GJ, Kiefer KM, Drobatz KJ. Outcome and prognostic indicators in cats undergoing splenectomy for splenic mast cell tumors. J Am Anim Hosp Assoc. 2015;51:231-238.
8. B.J. Evans ,D.O’ Brien ,S.D. Allstadt, T. P. Gregor, K.U. Sorenmo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feline splenic mast cell tumors: A multi-institutional retrospective study of 64 cases 2016
9. Erika P Berger, Chad M Johannes, Gerald S Post, Gillian Rothchild, Kai-Biu Shiu, Sarah Wetzel and Leslie E Fox, Retrospective evaluation of toceranib phosphate (Palladia) use in cats with mast cell neoplasia 2017
10. S. Sabattini, G.Barzon, M.Giantin, R.M.Lopparelli, M.Dacasto, D.Prata and G. Bettini
Kit receptor tyrosine kinase dysregulations in feline splenic mast cell tumours 2016